블루리본상 (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루리본상은 철도 애호 단체인 철도친우회가 매년 수여하는 상으로, 전년도에 일본에서 영업 운전을 시작한 철도 차량 중 기계적 성능, 디자인, 승객 서비스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최고의 차량에 수여한다. 선정 과정은 철도친우회 회원들의 투표를 통해 이루어지며, 최다 득표 차량이 블루리본상으로 선정된다. 수상 차량에는 '블루리본상 수상' 플레이트가 부착되며, 특급 열차가 선정되는 경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도상 - 로렐상
로렐상은 일본 철도 차량에 수여되는 상으로, 블루리본상 후보 차량 중 수상 차량을 제외하고 기술적, 디자인적 혁신을 기준으로 선정되며, 기술이나 디자인이 뛰어난 차량, 특히 혁신적인 기술을 사용한 차량이나 중소 사철의 신차량이 선정되는 경향이 있고, 수상 차량에는 기념 플레이트가 부착된다. - 데쓰도토모노카이 - 로렐상
로렐상은 일본 철도 차량에 수여되는 상으로, 블루리본상 후보 차량 중 수상 차량을 제외하고 기술적, 디자인적 혁신을 기준으로 선정되며, 기술이나 디자인이 뛰어난 차량, 특히 혁신적인 기술을 사용한 차량이나 중소 사철의 신차량이 선정되는 경향이 있고, 수상 차량에는 기념 플레이트가 부착된다. - 일본의 철도 문화 - 로렐상
로렐상은 일본 철도 차량에 수여되는 상으로, 블루리본상 후보 차량 중 수상 차량을 제외하고 기술적, 디자인적 혁신을 기준으로 선정되며, 기술이나 디자인이 뛰어난 차량, 특히 혁신적인 기술을 사용한 차량이나 중소 사철의 신차량이 선정되는 경향이 있고, 수상 차량에는 기념 플레이트가 부착된다. - 일본의 철도 문화 - 철도 팬 (잡지)
철도 팬은 이가 야스마사가 1961년 1월에 창간한 일본의 철도 잡지로, 초기에는 다양한 철도 내용을 다루었으나 점차 철도 사진, 신차 소개, 운행 정보 등으로 특화되었으며, 많은 페이지 수와 부록, 전자판 백 넘버 제공이 특징이다.
블루리본상 (철도)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수여 이유 | 전년도에 운행을 시작한 가장 인기 있고 뛰어난 철도 차량 |
수여 시작일 | 1958년 6월 20일 |
국가 | 일본 |
주최 | 일본 철도 동호회 |
가장 많은 수상 | 긴키 닛폰 철도 |
웹사이트 | 블루 리본상 공식 웹사이트 |
![]() | |
이전 수상 | 제66회 (2023년) |
주요 수상 | 제67회 (2024년) |
다음 수상 | 제68회 |
수상 내역 | |
최근 수상 | 도부 철도N100계 전차 |
2. 선정 과정
블루리본상은 투표 전 해에 새롭게 영업 운전을 시작한 철도 차량 중에서 철도우호회 회원의 투표로 선정되는 상으로, 연 1회 한 형식만 선정된다.[1] 1958년에 오다큐 3000형에 상을 수여하고 싶다는 취지로 제정되었으며,[1] 1959년부터 회원 투표로 선정 방식을 변경했다.[1]
회원 투표 결과, 원칙적으로 최다 득표 차량이 선정된다.[8] 다만, 2위 이하라도 그 후보 차량이 가장 우수하다고 인정되거나,[8] 1위 득표율이 매우 낮거나, 상위 득표수가 근접한 경우에는 다른 차량이 선정되기도 한다.[8] 예를 들어 1991년 제34회, 2016년 제59회, 2018년 제61회에는 득표수 2위 차량이 선정되었다.[8] 과거에는 전체 투표 상황이나 "해당 차량 없음" 득표수에 따라 1971년 제14회나 1997년 제40회처럼 블루리본상 선정을 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지만,[8] 2014년 이후에는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보류하지 않고 선정한다.[8]
2. 1. 후보 차량 선정
연초에 그 해의 선정 후보 차량을 선정한다. 이는 철도 친우회의 베테랑 회원 등으로 구성되는 선정 위원회에서 진행된다. 대상 차량은 일본 내에서 사용하는 철도 차량 중 그 해의 전년에 영업 운전을 시작한 신형 차량(혹은 신형 차량으로 간주할 수 있는 차량)이다. 따라서 시험차량 등의 사업용 차량은 선정되지 않는다.[1]- 제조된 해가 아니라, 실제로 영업 운전을 시작한 해가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규슈 여객철도(JR 규슈) 883계 전동차는 1994년에 제조되었지만 영업 운전 개시는 1995년이므로, 1996년에 선정되었다. 그 중, 게이세이 전철의 AE형 전동차는 나리타 공항 개항 전인 1973년 12월 30일에 잠정 운용을 시작했기 때문에, 선정 기준 기간 내에 영업 운전을 실시한 최단 기록으로 수상하게 되었다.[1]
- 일본이 아닌 다른 국가에서 제조되었어도, 일본 내에서 사용하는 차량은 선정 후보 차량이 된다.[1]
- 종래부터 있는 형식에서 설계를 변경하여 신조된 차량은, 선정 위원회의 판단에 의해 선정 후보 차량이 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1]
- 개조 차량에 대해서도, 선정 위원회가 선정 후보가 되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신형식이 되었을 경우에도 개조 부분이 적은 경우에는 선정 후보가 되지 않는 경우도 많고, 반대로 형식 번호가 변하지 않아도 개조 내용이 많은 경우는 선정 후보가 되는 경우가 있다.[1]
- 신칸센의 경우에는 신칸센 0계(1965년), 500계(1997년), 신칸센 N700계(2008년)가 돌아가며 수상을 받았는데, 0계와 500계 사이 미선정 기간(33년) 동안 4개 차량이 블루리본상 투표에서 탈락, 로렐상을 받았다.[1]
먼저, 투표 실시 연도의 전년 말에 철도우호회 정회원 중에서 선정 위원 10명이 선출된다. 선정 위원은 철도에 정통하고 공정한 판단력을 갖춘 정회원 중에서 선출된다.[2]
연초에 선정 위원에 의해 선정위원회가 조직되어, 위원회에서 후보 차량(노미네이트 차량)이 선정된다.[2]
후보 차량은 일본 국내에서 사용하는 철도 · 궤도 차량 중 전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일본 국내에서 영업 운전을 시작한 신형식 차량 또는 그에 준하는 차량으로, 후보 차량 결정 시점에 현재 영업 중인 것을 대략적인 요건으로 한다. 사업용차에 대해서는 영업 운전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대상 외이다.[2]
신형식 차량으로 간주할 수 있는 차량은 기존 형식이라도 설계를 변경하여 신규로 제조된 차량 또는 개조 차량을 말하며, 후보 차량으로 할지 여부는 선정위원회의 판단에 따른다. 이 때문에 제29회 수상 차량인 이즈 급행 2100계 전동차는 제34회에서 R-4 편성 '리조트 21EX'가, 제37회에서 R-5 편성 '알파 리조트 21'이 '기존 형식에서 설계를 변경한 신조 차량'으로 후보 차량이 되었고, 제15회 수상 차량인 국철 14계 객차는 해당 좌석차를 유럽풍 객차로 개조한 '살롱 익스프레스 도쿄'가 제27회 수상 차량이 되었다.[2]
신차라도 설계 변경이 적은 차량 (소테츠 11000계 전동차, JR 동일본 EF510형 500번대 전기 기관차 등), 특별 차량 (E655-1) 등은 노미네이트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후보 차량의 정의에 선정 규정 제2조의 '오로지 철도 사업 또는 궤도 사업에 제공되는 것'이 있으며, 도로 위도 달릴 수 있는 듀얼 모드 비클은 후보 차량에 포함되지 않는다.[2]
후보 차량은 기본적으로 제조년이 아닌 영업 운전을 시작한 해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1994년 제조된 큐슈 여객철도 883계는 1995년에 영업 운전을 시작하여 1996년 제39회에서 수상했다. 또한, 사고나 고장으로 영업 운전에서 제외되어 영업의 전망이 서지 않는 경우 후보 차량에서 제외된다. 예를 들어 동일본 여객철도의 E235계 전동차는 2015년 11월 30일에 영업 운전을 시작했으나, 불량이 다발하여 그날로 2015년의 영업 운전을 종료했기 때문에 다음 해인 2016년의 후보 차량이 되지 못하고, 2016년 3월에 영업 운전을 재개하여 2017년의 후보 차량이 되었다.[2]
1980년대까지는 일본 국외에서 제조된 차량은 후보 차량 대상 외였으나, 현재는 제조국에 관한 규정은 없어졌다.[2]
후보 차량의 수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므로, 1989년 제32회처럼 후보 차량이 62개 차종에 달하는 회가 있는 반면, 2022년 제65회처럼 후보 차량이 5개 차종뿐인 회도 있다. 또한, 동일 회사에서 후보 차량에 관한 제한도 없으므로, 1987년 제30회처럼 후보 차량 42개 차종 중 과반수인 22개 차종이 국철 차량인 경우도 있다.[2]
화물용 차량도 노미네이트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수상은 일본 화물 철도의 M250계 전동차와, 수상 당시에는 화물용(후에 객화 양용이 됨) 기관차였던 국철 EF66형 전기 기관차뿐이다.[2]
2. 2. 투표
철도 친우회 회원들은 5월(이전에는 4월)에 투표를 하여 최다 득표한 차량을 선정한다. 다만, 최다 득표 차량이라도 전체 투표 상황에 따라 선정이 보류되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6]선정 위원회는 선정 후보 차량을 회보 "RAIL FAN"을 통해 회원에게 공지하며, 회원은 4월에 정해진 기간 내에 투표한다. 1959년부터 1980년까지는 한 형식에 대해서만 투표했지만, 1981년부터는 2표씩 투표한다.[6] 2013년까지는 투표 용지에 "해당 차량 없음" 선택지가 있어, 후보 차량이 없다고 생각하는 회원은 이 항목에 투표했다.[7][8]
투표 결과, 원칙적으로 최다 득표 차량이 선정되지만, 2위 이하라도 그 후보 차량이 가장 우수하다고 인정되거나,[8] 1위 득표율이 매우 낮거나, 상위 득표수가 근접한 경우에는 다른 차량이 선정되기도 한다. 1991년 제34회, 2016년 제59회, 2018년 제61회에는 득표수 2위 차량이 선정되었다. 과거에는 전체 투표 상황이나 "해당 차량 없음" 득표수에 따라 1971년 제14회나 1997년 제40회처럼 블루리본상 선정을 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지만, 2014년 이후에는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보류하지 않고 선정한다.[8]
3. 역대 수상 차량
'''블루리본상''' 역대 수상 차량은 다음과 같다. 선정된 차량에는 '블루리본상 수상'이라는 문구가 새겨진 명판이 차내(기관차나 화물 전용 전동차의 경우 차체 외부)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2]
횟수 | 연도 | 철도 회사(단체) | 차량 이름 | 애칭 | 비고 |
---|---|---|---|---|---|
제1회 | 1958년 | 오다큐 전철 | 3000형 전동차 | 'SE' | 첫 회는 투표 없이 선정 |
제2회 | 1959년 | 일본국유철도 | 151계 전동차 | '고다마 형' | |
제3회 | 1960년 | 긴키 닛폰 철도 | 10100계 전동차 | (2단식 전망 차량)비스타 카 II세 | |
제4회 | 1961년 | 일본국유철도 | 키하 81계 기동차 | '하쓰카리 형' | |
제5회 | 1962년 | 나고야 철도 | 7000계 전동차 | '파노라마 카' | |
제6회 | 1963년 | 긴키 닛폰 철도 | 20100계 전동차 | '아오조라' | |
제7회 | 1964년 | 오다큐 전철 | 3100형 전동차 | 'NSE' | |
제8회 | 1965년 | 일본국유철도 | 신칸센 0계 전동차 | '히카리 및 고다마' | |
제9회 | 1966년 | 나고야 철도 | 키하 8000계 기동차 | ||
제10회 | 1967년 | 긴키 닛폰 철도 | 18200계 전동차 | ||
제11회 | 1968년 | 일본국유철도 | 581계 전동차 | ||
제12회 | 1969년 | 일본국유철도 | EF66형 전기 기관차 | ||
제13회 | 1970년 | 세이부 철도 | 5000계 전동차 | '레드 애로우' | |
제14회 | 1971년 | 해당 차량 없음 | |||
제15회 | 1972년 | 일본국유철도 | 14계 객차 | ||
제16회 | 1973년 | 일본국유철도 | 183계 전동차 | ||
제17회 | 1974년 | 게이세이 전철 | AE형 전동차 | '스카이라이너' | |
제18회 | 1975년 | 해당 차량 없음 | |||
제19회 | 1976년 | 한큐 전철 | 6300계 전동차 | ||
제20회 | 1977년 | 나고야 철도 | 6000계 전동차 | ||
제21회 | 1978년 | 긴키 닛폰 철도 | 12400계 전동차 | '써니 카' | |
제22회 | 1979년 | 긴키 닛폰 철도 | 30000계 전동차 | '(2단식 전망 차량)비스타 카 III세' | 현재: '전망 EX' |
제23회 | 1980년 | 에노시마 카마쿠라 관광 | 1000형 전동차 | ||
제24회 | 1981년 | 오다큐 전철 | 7000형 전동차 | 'LSE' | |
제25회 | 1982년 | 하코네 등산 철도 | 1000형 전동차 | '베르니나' | |
제26회 | 1983년 | 게이힌 급행 전철 | 2000형 전동차 | ||
제27회 | 1984년 | 일본국유철도 | 일본국유철도 14계 객차(700번대) | '살롱 익스프레스 도쿄' | |
제28회 | 1985년 | 나고야 철도 | 8800계 전동차 | '파노라마 DX' | |
제29회 | 1986년 | 이즈 급행 | 2100계 전동차 | '리조트 21' | |
제30회 | 1987년 | 일본국유철도 | 키하83·키하 84형 기동차 | '플라노 익스프레스' | 선정 당시에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
제31회 | 1988년 | 오다큐 전철 | 10000형 전동차 | 'HiSE' | |
제32회 | 1989년 | 긴키 닛폰 철도 | 21000계 전동차 | '어반 라이너' | 현재: '어반 라이너 plus' |
제33회 | 1990년 | 동일본 여객철도 | 651계 전동차 | '슈퍼 히타치' | |
제34회 | 1991년 | 도부 철도 | 100계 전동차 | '스페이시아' | |
제35회 | 1992년 | 오다큐 전철 | 20000형 전동차 | 'RSE' | |
제36회 | 1993년 | 규슈 여객철도 | 787계 전동차 | '쓰바메' | |
제37회 | 1994년 | 해당 차량 없음 | |||
제38회 | 1995년 | 난카이 전기 철도 | 50000계 전동차 | '라피드' | |
제39회 | 1996년 | 규슈 여객철도 | 883계 전동차 | '소닉' | |
제40회 | 1997년 | 해당 차량 없음 | |||
제41회 | 1998년 | 서일본 여객철도 | 신칸센 500계 전동차 | '노조미' | |
제42회 | 1999년 | 서일본 여객철도 도카이 여객철도 | 285계 전동차 | '선라이즈 익스프레스' | |
제43회 | 2000년 | 동일본 여객철도 | E26계 객차 | '카시오페아' | |
제44회 | 2001년 | 규슈 여객철도 | 885계 전동차 | '하얀 가모메' | |
제45회 | 2002년 | 동일본 여객철도 | E257계 전동차 | '아즈사 및 가이지' | |
제46회 | 2003년 | 긴키 닛폰 철도 | 21020계 전동차 | '어반 라이너 next' | |
제47회 | 2004년 | 시코쿠 여객철도 | 5100형 전동차 | '마린 라이너' | |
제48회 | 2005년 | 일본화물철도 | M250계 전동차 | '슈퍼 레일 카고' | |
제49회 | 2006년 | 오다큐 전철 | 50000형 전동차 | 'VSE' | |
제50회 | 2007년 | 도야마 라이트 레일 | TLR0600형 전차 | '포트램' | |
제51회 | 2008년 | 도카이 여객철도 서일본 여객철도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 '노조미' | |
제52회 | 2009년 | 오다큐 전철 | 60000형 전동차 | 'MSE' | |
제53회 | 2010년 | 동일본 여객철도 | E259계 전동차 | '나리타 익스프레스' | |
제54회 | 2011년 | 게이세이 전철 | AE형 전동차 (2대) | '스카이라이너' | |
제54회 | 2012년 | 동일본 여객철도 | 신칸센 E5계 전동차 | '하야테/야마비코/하야부사' | |
제55회 | 2013년 | 도쿄 메트로 | 1000계 전동차(2013년 도입) | ||
제56회 | 2014년 | 긴테쓰 | 50000계 전동차 | '시마카제' | |
제57회 | 2015년 | 동일본 여객철도 서일본 여객철도 |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 | 가가야키/하쿠타카/ 아사마 / 쓰루기 | |
제58회 | 2016년 | 한신 전기 철도 | 5700 계 전동차 | 'JET SILVER 5700' |
{| class="wikitable"
|-
! 상
! 연도
! 열차
! 운행사
! 그림
|-
| 1
| 1958
| 3000계 SE 전동차
| 오다큐 전철
|
|-
| 2
| 1959
| 151계 ''고다마'' 전동차
| JNR
|
|-
| 3
| 1960
| 10100계 ''비스타카 II'' 전동차
| 긴테쓰
|
|-
| 4
| 1961
| 키하 81계 ''하츠카리'' 기동차
| JNR
|
|-
| 5
| 1962
| 7000계 ''파노라마카'' 전동차
| 나고야 철도
|
|-
| 6
| 1963
| 20100계 ''아오조라'' 전동차
| 긴테쓰
|
|-
| 7
| 1964
| 3100계 NSE 전동차
| 오다큐 전철
|
|-
| 8
| 1965
| 0계 신칸센
| JNR
|
|-
| 9
| 1966
| 키하 8000계 기동차
| 나고야 철도
|
|-
| 10
| 1967
| 18200계 전동차
| 긴테쓰
|
|-
| 11
| 1968
| 581계 ''겟코'' 전동차
| JNR
|
|-
| 12
| 1969
| EF66형 전기 기관차
| JNR
|
|-
| 13
| 1970
| 5000계 ''레드 애로우'' 전동차
| 세이부 철도
|
|-
| 14
| 1971
|
|
|
|-
| 15
| 1972
| 14계 객차
| JNR
|
|-
| 16
| 1973
| 183계 전동차
| JNR
|
|-
| 17
| 1974
| AE형 ''스카이라이너'' 전동차
| 게이세이 전철
|
|-
| 18
| 1975
|
|
|
|-
| 19
| 1976
| 6300계 전동차
| 한큐
|
|-
| 20
| 1977
| 6000계 전동차
| 나고야 철도
|
|-
| 21
| 1978
| 12400계 ''선 카'' 전동차
| 긴테쓰
|
|-
| 22
| 1979
| 30000계 ''비스타카 III'' (현재 ''비스타 EX'') 전동차
| 긴테쓰
|
|-
| 23
| 1980
| 1000계 전동차
| 에노시마 전철
|
|-
| 24
| 1981
| 7000계 LSE 전동차
| 오다큐 전철
|
|-
| 25
| 1982
| 1000계 ''베르니나'' 전동차
| 하코네 등산 철도
|
|-
| 26
| 1983
| 2000계 전동차
| 게이큐
|
|-
| 27
| 1984
| ''サロンエクスプレス東京일본어'' 열차
| JNR
|
|-
| 28
| 1985
| 8800계 ''파노라마 DX'' 전동차
| 나고야 철도
|
|-
| 29
| 1986
| 伊豆急行2100系電車|2100계일본어 ''리조트 21'' 전동차
| 이즈큐 코퍼레이션
|
|-
| 30
| 1987
| 키하 83/84 ''후라노 익스프레스'' 기동차
| JR 홋카이도
|
|-
| 31
| 1988
| 10000계 HiSE 전동차
| 오다큐 전철
|
|-
| 32
| 1989
| 21000계 ''어반 라이너'' 전동차
| 긴테쓰
|
|-
| 33
| 1990
| 651계 ''슈퍼 히타치'' 전동차
| JR 동일본
|
|-
| 34
| 1991
| 100계 ''스페시아'' 전동차
| 도부 철도
|
|-
| 35
| 1992
| 20000계 RSE 전동차
| 오다큐 전철
|
|-
| 36
| 1993
| 787계 ''쓰바메'' 전동차
| JR 큐슈
|
|-
| 37
| 1994
|
|
|
|-
| 38
| 1995
| 50000계 ''라피트'' 전동차
| 난카이 전기 철도
|
|-
| 39
| 1996
| 883계 ''소닉'' 전동차
| JR 큐슈
|
|-
| 40
| 1997
|
|
|
|-
| 41
| 1998
| 500계 신칸센 ''노조미''
| JR 서일본
|
|-
| 42
| 1999
| 285계 ''선라이즈 익스프레스'' 전동차
| JR 도카이 & JR 서일본
|
|-
| 43
| 2000
| JR東日本E26系客車|E26계일본어 ''카시오페이아'' 침대차
| JR 동일본
|
|-
| 44
| 2001
| 885계 ''시로이 카모메'' 전동차
| JR 큐슈
|
|-
| 45
| 2002
| E257계 ''아즈사 / 카이지'' 전동차
| JR 동일본
|
|-
| 46
| 2003
| 21020계 ''어반 라이너 넥스트'' 전동차
| 긴테쓰
|
|-
| 47
| 2004
| 5100형 2층 운전실 차량 ''마린 라이너'' 전동차
| JR 시코쿠
|
|-
| 48
| 2005
| M250계 ''슈퍼 레일 카고'' 전동차
| JR 화물
|
|-
| 49
| 2006
| 50000계 VSE 전동차
| 오다큐 전철
|
|-
| 50
| 2007
| 富山ライトレールTLR0600形電車|"포트램"일본어
| 도야마 라이트 레일
|
|-
| 51
| 2008
| N700계 신칸센
| JR 도카이 & JR 서일본
|
|-
| 52
| 2009
| 60000계 MSE 전동차
| 오다큐 전철
|
|-
| 53
| 2010
| E259계 ''나리타 익스프레스'' 전
4. 수상 경향 및 특징
연초에 그 해의 선정 후보 차량을 선정한다. 이는 철도 친우회의 베테랑 회원 등으로 구성되는 선정 위원회에서 진행된다. 대상 차량은 일본 내에서 사용하는 철도 차량 가운데 그 해의 전년에 영업운전을 시작한 신형 차량(혹은 신형 차량으로 간주할 수 있는 차량)이다. 따라서 시험차량 등의 사업용 차량은 선정되지 않는다.
- 제조된 해가 아니라, 실제로 영업운전을 시작한 해가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규슈 여객철도(JR 규슈) 883계 전동차는 1994년에 제조되었지만 영업운전 개시는 1995년이므로, 1996년에 선정되었다. 그 중, 게이세이 전철의 AE형 전동차는 나리타 공항 개항 전인 1973년 12월 30일에 잠정 운용을 시작했기 때문에, 선정기준 기간 내에 영업 운전을 실시한 최단 기록으로 수상하게 되었다.
- 일본이 아닌 다른 국가에서 제조되었어도, 일본 내에서 사용하는 차량은 선정 후보 차량이 된다.
- 종래부터 있는 형식에서 설계를 변경하여 신조된 차량은, 선정 위원회의 판단에 의해 선정 후보 차량이 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 개조 차량에 대해서도, 선정 위원회가 선정 후보가 되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신형식이 되었을 경우에도 개조 부분이 적은 경우에는 선정 후보가 되지 않는 경우도 많고, 반대로 형식 번호가 변하지 않아도 개조 내용이 많은 경우는 선정 후보가 되는 경우가 있다.
- 신칸센의 경우에는 신칸센 0계(1965년), 500계(1997년), 신칸센 N700계(2008년)가 돌아가며 수상을 받았는데, 0계와 500계 사이 미선정기간(33년)동안 4개 차량이 블루리본상 투표에서 탈락, 로렐상을 받았다.
블루리본상은 투표 전 해에 새롭게 영업 운전을 시작한 철도 차량 중에서 철도우호회 회원의 투표로 선정되는 상이다. 선정 차량은 연 1 형식으로 한정된다.
이 상은 1957년 당시 획기적인 차량으로 등장한 오다큐 3000형에 대해 철도 팬의 시각에서 어떠한 상을 수여하고 싶다는 취지에서 1958년에 제정되었다. 다음 해인 1959년부터는 회원 투표로 선정하게 되었으며, 역대 수상 차량은 전국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일본국유철도·JR의 특급형 차량이나, 사철 각사의 수상 시점에서의 시대를 대표하는 간판 차량이 선정되고 있다.
2024년 현재, 이 상의 최다 수상 철도 사업자는 긴키 닛폰 철도(9회)이다.
선정된 차량에는 수상 연도와 "철도우호회 블루리본상"이 적힌 기념 플레이트가 차내나 외판에 부착된다.
기념 플레이트는 처음에는 가로형이었으나, 로렐상 제정 시 구로이와 야스미 회원 디자인에 의해 현재의 원형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다른 명판과 조합하여 디자인되는 경우도 있다.
5. 한국 철도와의 연관성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블루리본상 (철도)'의 '한국 철도와의 연관성' 섹션에 포함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Blue Ribbon Prize and Laurel Prize
http://www.jrc.gr.jp[...]
Japan Railfan Club
2016-05-01
[2]
웹사이트
Blue Ribbon Award and Laurel Prize
http://www.jrc.gr.jp[...]
Japan Railfan Club
2016-05-01
[3]
웹사이트
2022 Blue Ribbon Award / Laurel Prize recipients decided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2-05-26
[4]
웹사이트
2023 Blue Ribbon Award and Laurel Prize recipients announced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3-05-25
[5]
웹사이트
Tobu Railway's N100 Series "Spacia X" wins Japan Railfan Club's Blue Ribbon Award
https://news.mynavi.[...]
2024-05-23
[6]
문서
'#BL1988|『ブルーリボン賞'88』 p.144'
[7]
문서
「該当車なし」に投票を行った場合、2票とも該当車なしとなるため、1票のみ「ある車両」に投票し、1票のみ「該当車なし」に投票することはできない。投票用紙にもその旨が記載されていた。
[8]
간행물
『RAIL FAN』(鉄道友の会)2014年2月号 52-54頁「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規定および同内規の一部改正について」
[9]
문서
'#BL1988|『ブルーリボン賞'88』 p.144'
[10]
문서
'#BL1988|『ブルーリボン賞'88』 p.145'
[11]
문서
'#BL1988|『ブルーリボン賞'88』 p.72'
[12]
문서
'#BL1988|『ブルーリボン賞'88』 p.146'
[13]
문서
'#BL1988|『ブルーリボン賞'88』 p.147'
[14]
문서
'#BL1988|『ブルーリボン賞'88』 p.148'
[15]
문서
'#BL1988|『ブルーリボン賞'88』 p.149'
[16]
문서
'#BL1988|『ブルーリボン賞'88』 p.149'
[17]
문서
'#BL1988|『ブルーリボン賞'88』 p.149'
[18]
문서
'#BL1988|『ブルーリボン賞'88』 p.149'
[19]
논문
2002年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の選考経緯について
鉄道友の会
2002-07-01
[20]
논문
2003年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の選考経緯について
鉄道友の会
2003-08-01
[21]
논문
2004年ブルーリボン賞 四国旅客鉄道5100形について
鉄道友の会
2004-08-01
[22]
논문
2005年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の選考経緯について
鉄道友の会
2005-08-01
[23]
논문
2006年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の選考経緯について
鉄道友の会
2006-07-01
[24]
논문
2007年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選定車両
鉄道友の会
2007-07-01
[25]
논문
2008年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選定車両
鉄道友の会
2008-07-01
[26]
논문
2009年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選定車両
鉄道友の会
2009-07-01
[27]
논문
2010年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鉄道友の会
2010-07-01
[28]
논문
2011年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鉄道友の会
2011-06-01
[29]
논문
2012年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鉄道友の会
2012-06-01
[30]
논문
2013年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鉄道友の会
2013-06-01
[31]
논문
2014年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鉄道友の会
2014-06-01
[32]
간행물
『RAIL FAN』(鉄道友の会)2015年6月号 3-4頁「2015年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33]
간행물
『RAIL FAN』(鉄道友の会)2016年6月号 3-4頁「2016年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34]
간행물
『RAIL FAN』(鉄道友の会)2017年6月号 3-4頁「2017年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35]
간행물
『RAIL FAN』(鉄道友の会)2018年6月号 3-4頁「2018年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36]
간행물
2019年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RAIL FAN(鉄道友の会)
2019-06
[37]
간행물
2020年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RAIL FAN(鉄道友の会)
2020-06
[38]
간행물
2021年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RAIL FAN(鉄道友の会)
2021-06
[39]
간행물
2022年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RAIL FAN(鉄道友の会)
2022-06
[40]
간행물
2023年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RAIL FAN(鉄道友の会)
2023-06
[41]
간행물
2024年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決定
RAIL FAN(鉄道友の会)
202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